주요현황 - 정신건강문제(국외)

유병률

정신장애 유병률

  • GBD 연구에 따른 2023년 정신장애 유병률을 살펴보면 정신장애 유병률은 14.7%로 나타났으며, 불안장애 5.9%, 우울장애 3.9%, 기타 정신장애 1.5%,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 1.2% 순임.
  • 성별로 살펴보면, 불안장애, 우울장애, 섭식장애는 여성이, 기타 정신장애,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장애, 특발성 지적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품행장애는 남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됨.
표 1. GBD 연구에 따른 성별 정신장애 유병률 현황(2023)단위: %
GBD 연구에 따른 성별 정신장애 유병률 현황(2023)
구분 전체 남성 여성
정신장애14.714.015.4
조현병0.30.30.3
우울장애3.93.14.7
양극성장애0.40.40.4
불안장애5.94.67.2
섭식장애0.20.10.3
자폐 스펙트럼 장애0.71.00.4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1.21.70.6
품행장애0.50.70.4
특발성 지적장애0.91.00.8
기타 정신장애1.51.91.2
출처: IHME, Global Burden of Disease

우울증 유병률

  • GBD 연구에 따른 2021년 기준 주요 국가별 우울증 연령 표준화 유병률을 살펴보면, 그리스에서 6.3%로 가장 높았으며 아프가니스탄 5.9%, 포르투갈 5.8%, 스페인 5.5% 순으로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은 순서로 보면 브루나이 1.9%, 싱가포르 2.2%, 대한민국 2.4%, 콜롬비아 2.5% 순임.
표 3. 국가별 우울증 연령 표준화 유병률 현황(2021)단위: %
국가별 우울증 연령 표준화 유병률 현황(2021)
구분 유병률 구분 유병률
브루나이1.9덴마크4.2
싱가포르2.2독일4.2
대한민국2.4벨기에4.3
콜롬비아2.5아랍에미리트4.3
일본2.6인도4.4
베트남2.7멕시코4.4
폴란드2.7브라질4.4
대만2.7노르웨이4.4
인도네시아2.8네덜란드4.4
중국2.9이탈리아4.5
태국3.1카타르4.5
아르헨티나3.2파키스탄4.6
몰디브3.3이집트4.6
캄보디아3.4스위스4.7
필리핀3.4프랑스4.8
헝가리3.4가나4.9
자메이카3.5호주4.9
체코3.5우크라이나4.9
크로아티아3.5이스라엘5.0
오스트리아3.6스웨덴5.1
우즈베키스탄3.7아일랜드5.2
말레이시아3.7핀란드5.2
뉴질랜드3.8영국5.2
우루과이3.8스페인5.5
룩셈부르크3.9포르투갈5.8
카자흐스탄4.0아프가니스탄5.9
캐나다4.1그리스6.3
출처: IM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25년 9월 접속

불안장애 유병률

  • GBD 연구에 따른 2021년 기준 주요 국가별 불안장애 연령 표준화 유병률을 살펴보면, 포르투갈에서 9.7%로 가장 높았으며 브라질 9.0%, 네덜란드 및 아일랜드 7.9% 순으로 높게 나타남. 반면, 낮은 순서로 보면 우즈베키스탄 2.3%, 카자흐스탄 2.5%, 베트남 2.6%, 싱가포르 3.1% 순이며 대한민국은 3.5%로 나타남.
표 4. 국가별 불안장애 유병률 현황(2021)단위: %
국가별 불안장애 유병률 현황(2021)
구분 유병률 구분 유병률
우즈베키스탄2.3자메이카5.2
카자흐스탄2.5아랍에미리트5.2
베트남2.6말레이시아5.2
싱가포르3.1이집트5.2
일본3.2영국5.6
가나3.2콜롬비아5.6
브루나이3.3스웨덴5.9
대한민국3.5스페인6.0
중국3.5아프가니스탄6.0
인도3.5벨기에6.1
파키스탄3.7덴마크6.2
태국3.8호주6.2
대만3.8룩셈부르크6.3
몰디브3.9아르헨티나6.3
우크라이나4.0우루과이6.6
폴란드4.1이탈리아6.8
체코4.1오스트리아7.1
인도네시아 공화국4.2그리스7.2
헝가리4.3뉴질랜드7.4
크로아티아4.3노르웨이7.5
이스라엘4.4스위스7.6
멕시코4.5독일7.6
캄보디아4.7프랑스7.7
핀란드4.8아일랜드7.9
필리핀4.8네덜란드7.9
캐나다4.9브라질9.0
카타르4.9포르투갈9.7
출처: IM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25년 9월 접속

알코올 소비량

  • OECD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 추이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OECD 평균 8.6ℓ이고 대한민국은 7.8ℓ로 OECD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보임. OECD 평균은 감소하다 2022년 증가, 2023년 감소하였으며 대한민국은 증감을 반복함.
표 5. OECD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 추이(2012~2023)단위: ℓ
OECD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 추이(2012~2023)
구분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
OECD 평균8.98.78.88.88.78.68.68.68.58.98.6
대한민국9.08.78.99.18.78.78.58.37.98.67.8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 OECD 국가별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을 살펴보면, 라트비아가 11.7ℓ, 오스트리아 11.3ℓ, 체코 11.2ℓ, 스페인 11.1ℓ 순으로 많게 나타났으며 적은 순으로 살펴보면, 튀르키예 1.7ℓ, 이스라엘 3.1ℓ, 코스타리카 3.4ℓ 순임.
표 6. OECD 국가별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 현황(2023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단위: ℓ
OECD 국가별 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 현황(2023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
구분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구분인구 1인당 알코올 소비량
호주10.5일본6.7
오스트리아11.3대한민국7.8
벨기에9.2라트비아11.7
캐나다8.1리투아니아11.0
칠레7.1룩셈부르크11.0
콜롬비아4.1멕시코6.0
코스타리카3.4네덜란드7.8
체코11.2뉴질랜드8.2
덴마크7.5노르웨이6.4
에스토니아10.9폴란드10.0
핀란드7.4포르투갈10.4
프랑스10.4슬로바키아9.7
독일10.6슬로베니아9.7
그리스6.3스페인11.1
헝가리10.3스웨덴7.4
아이슬란드7.7스위스8.0
아일랜드9.9튀르키예1.7
이스라엘3.1영국9.3
이탈리아7.7미국9.5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정신장애 사망

인구 10만 명당 정신장애 사망

  • OECD 인구 10만 명당 정신장애로 인한 사망률 추이를 살펴보면, 매년 OECD 평균보다 대한민국은 더 낮은 수치를 보이며 OECD 평균 수치는 2019년까지 증가하다 2021년까지 감소, 2022년 다시 증가하였으며, 대한민국 수치는 감소하는 추이를 보임.
  • 2022년 기준, OECD 인구 10만 명당 정신장애로 인한 사망자 수는 32.3명이며 대한민국은 7.0명으로 확인됨.
표 7. OECD 인구 10만 명당 정신장애 사망 추이(2012~2022)단위: 명
OECD 인구 10만 명당 정신장애 사망 추이(2012~2020)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OECD 평균25.827.227.329.729.631.432.332.431.931.632.3
대한민국21.118.216.816.515.314.411.511.09.47.0-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2025년 9월 접속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

  • WHO 지역별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자살 사망을 살펴보면 전체, 동지중해지역, 유럽지역, 남동아시아지역의 자살 사망은 감소, 아프리카지역, 아메리카지역, 서태평양지역의 자살 사망은 증가하는 추세임.
  • 2021년 기준 전체 지역 자살 사망은 8.9명이며 아프리카지역이 11.5명으로 가장 높았고 남동아시아 및 유럽지역 10.1명, 아메리카지역 9.2명, 서태평양지역 7.5명, 동지중해지역 4.0명 순으로 확인됨.
표 8. WHO 지역별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자살 사망 추이(2013~2021)단위: 명
WHO 지역별 인구 10만 명당 연령표준화 자살 사망 추이(2013~2021)
구분 Global 아프리카지역
(AFR)
아메리카지역
(AMR)
동지중해지역
(EMR)
유럽지역
(EUR)
남동아시아지역
(SEAR)
서태평양지역
(WPR)
201310.012.88.26.813.311.38.4
20199.011.29.16.410.510.27.2
20218.911.59.24.010.110.17.5
출처: WHO, Suicide worldwide in 2021

  • OECD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 기준 OECD 평균 10.7명, 대한민국 23.2명으로 OECD 평균 및 대한민국 자살 사망 추이 모두 감소하는 추이를 보임.
표 9. OECD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 추이(2012~2022)단위: 명
OECD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 추이(2012~2022)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OECD 평균12.812.812.412.111.511.611.511.312.110.610.7
대한민국30.329.827.626.825.523.825.525.424.124.323.2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은 23.2명으로 OECD 평균인 10.7명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 국가별로 살펴보면, 대한민국이 23.2명으로 가장 많았고, 슬로베니아 17.5명, 리투아니아 17.1명, 일본 15.9명 순임.
표 10.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현황(2022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단위: 명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현황(2022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
구분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 구분 인구 10만 명당 자살 사망자 수
호주12.8일본15.9
오스트리아12.6대한민국23.2
벨기에13.7라트비아11.4
캐나다9.1리투아니아17.1
칠레10.7룩셈부르크7.6
콜롬비아6.2멕시코6.4
코스타리카8.8네덜란드10.4
체코11.7뉴질랜드12.1
덴마크9.3노르웨이11.8
에스토니아13.7폴란드11.7
핀란드13.2포르투갈8.4
프랑스13.1슬로바키아6.8
독일9.7슬로베니아17.5
그리스4.5스페인7.9
헝가리15.7스웨덴11.8
아이슬란드9.0스위스10.1
아일랜드8.5튀르키예4.9
이스라엘4.4영국8.8
이탈리아5.7미국14.6
OECD평균10.7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2025년 9월 접속

양극성 장애 환자의 초과 사망비

  • OECD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환자의 초과 사망비 추이를 살펴보면, OECD 평균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증가하다 감소하는 추세로 2021년 기준 OECD 평균 2.3, 대한민국 4.2로 나타남.
표 11. OECD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환자의 초과 사망비 추이(2012~2021)단위: 비, ratio
OECD 양극성 장애로 진단받은 환자의 초과 사망비 추이(2012~2021)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OECD 평균2.62.82.92.62.62.62.72.62.72.3
대한민국3.83.94.04.14.14.14.34.44.44.2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조현병 환자의 초과 사망비

  • OECD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초과 사망비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OECD 평균 3.5, 대한민국 4.6으로 OECD 평균 및 대한민국 수치 모두 큰 변화는 없으나 대한민국은 조금씩 증가하는 추이를 보임.
표 12. OECD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초과 사망비 추이(2012~2021)단위: 비, ratio
OECD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초과 사망비 추이(2012~2021)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OECD 평균3.83.83.93.53.33.23.43.23.73.5
대한민국4.44.34.34.34.44.44.54.54.64.6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