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현황 - 정신질환치료(국외)

정신의료기관 재원

정신의료기관 재원 기간

  • WHO 지역별 정신병원 재원 기간을 살펴보면, 1년 미만의 입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남동아시아지역으로 나타났으며, 1년 이상 5년 이하의 입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동지중해지역, 5년 이상의 입원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아메리카지역으로 나타남.
표 1. WHO 지역별 정신병원 재원 기간 현황(2020)단위: 개, %
WHO 지역별 정신병원 재원 기간 현황(2020)
구분 Global 아프리카지역(AFR) 아메리카지역(AMR) 동지중해지역(EMR) 유럽지역(EUR) 남동아시아지역(SEAR) 서태평양지역(WPR)
국가 수851321122649
1년 미만87945971889791
1년 이상 5년 이하52512629
5년 이상56281720.53
출처: WHO, Mental Health Atlas

정신의료기관 진단별 평균 입원 기간

  •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진단별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을 살펴보면 ‘정신 및 행동장애’ 28.2일, ‘알코올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 15.9일, ‘조현병·분열형 및 망상장애’ 44.9일, ‘기분장애’ 23.0일로 나타남..
  • 진단별로 살펴보면, ‘정신 및 행동장애’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대한민국이 185.4일로 가장 길었으며 그리스 70.4일, 스페인 54.3일 순으로 확인됨. ‘알코올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의 경우 대한민국 99.9일, 그리스 34.7일, 헝가리 31.5일 순이며, ‘조현병·분열형 및 망상장애’의 경우 대한민국 229.8일, 그리스 102.5일, 스페인 88.9일 순, ‘기분장애’는 대한민국 48.1일, 영국 38.4일, 독일 36.0일 순으로 나타남. ‘기분장애’ 진단의 경우 대한민국 48.2일, 폴란드 41.5일, 영국 37.9일 순으로 높게 나타남.
표 2. OECD 국가별 진단별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 현황(2023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단위: 일
OECD 국가별 진단별 입원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 현황(2023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
구분 정신 및 행동장애 알코올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 조현병, 분열형 및 망상장애 기분장애
호주15.88.329.217.3
오스트리아26.918.835.325.5
벨기에9.66.111.416.8
캐나다21.07.036.618.4
칠레22.415.558.315.8
코스타리카14.911.417.713.6
체코39.131.467.034.8
덴마크17.73.029.324.3
에스토니아18.410.534.516.7
핀란드19.04.839.316.2
프랑스23.811.738.226.5
독일27.515.335.936.0
그리스70.434.7102.535.5
헝가리28.931.536.727.0
아이슬란드10.66.617.210.4
아일랜드13.76.527.716.3
이스라엘44.15.463.630.4
이탈리아14.113.515.515.4
대한민국185.499.9229.848.1
라트비아20.54.440.322.6
리투아니아20.89.638.518.3
룩셈부르크26.822.849.421.9
멕시코23.94.551.312.6
네덜란드7.94.229.418.7
뉴질랜드34.76.749.423.3
노르웨이16.814.522.417.7
폴란드19.918.138.628.7
포르투갈22.317.728.821.2
슬로바키아29.026.740.226.9
슬로베니아25.721.839.832.6
스페인54.330.288.931.8
스웨덴14.94.145.215.9
스위스27.119.636.932.3
튀르키예13.314.415.813.3
영국26.06.664.338.4
미국6.44.210.16.4
평균28.215.944.923.0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2025년 9월 접속

정신의료기관 퇴원

인구 10만 명당 진단별 퇴원 환자 수

  •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진단별 퇴원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을 살펴보면 ‘정신 및 행동장애’ 613.4일, ‘알코올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 107.4일, ‘조현병·분열형 및 망상장애’ 113.7일, ‘기분장애’ 121.0일로 나타남.
  • 진단별로 살펴보면, 인구 10만 명당 ‘정신 및 행동장애’ 진단 환자의 퇴원 수는 독일이 1,529.3명으로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노르웨이 1,412.6명, 라트비아 1,409.7명 순으로 나타남. ‘알코올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의 경우 라트비아 507.9명, 룩셈부르크 270.7명, 독일 270.4명 순, ‘조현병·분열형 및 망상장애’는 라트비아 311.2명, 리투아니아 250.8명, 노르웨이 247.7명 순, ‘기분장애’는 독일 429.0명, 스위스 375.3명, 오스트리아 284.0명 순으로 많게 나타남.
표 3.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진단별 퇴원 환자 현황(2023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단위: 명
OECD 국가별 인구 10만 명당 진단별 퇴원 환자 현황(2023년 또는 이용 가능한 최근 연도)
구분 정신 및 행동장애 알코올로 인한 정신 및 행동장애 조현병·분열형 및 망상장애 기분장애
호주963.8115.5180.7205.4
오스트리아1031.2166.7119.8284.0
벨기에240.274.413.429.9
캐나다644.783.0134.1120.4
칠레199.88.530.364.8
콜롬비아277.43.91.668.6
코스타리카83.51.814.318.3
체코612.3118.692.348.2
덴마크889.0176.8246.8145.6
에스토니아723.793.0151.3129.2
핀란드1067.2211.8227.2224.1
프랑스979.9152.0191.6265.0
독일1529.3270.4139.9429.0
그리스329.89.8122.281.0
헝가리738.082.7156.0144.0
아이슬란드881.1127.1130.2213.7
아일랜드165.563.26.87.6
이스라엘308.57.1149.450.7
이탈리아248.112.255.871.4
일본277.023.293.667.6
대한민국423.758.970.867.1
라트비아1409.7507.9311.287.5
리투아니아1086.0231.2250.8191.9
룩셈부르크1099.0270.7133.3236.0
멕시코37.64.05.810.8
네덜란드42.36.21.81.1
뉴질랜드480.654.8122.885.9
노르웨이1412.6239.4247.7231.7
폴란드109.038.612.710.3
포르투갈145.810.842.945.4
슬로바키아763.2203.5136.9105.3
슬로베니아577.4107.8126.065.7
스페인261.116.175.055.0
스웨덴894.0156.4124.9143.2
스위스1286.5189.6182.2375.3
튀르키예189.17.163.557.0
영국286.469.942.738.2
평균613.4107.4113.7121.0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2025년 9월 접속

정신장애 진단 환자의 퇴원 후 30일 이내 자살률

  • OECD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퇴원 후 30일 이내 자살률 추이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은 매년 OECD 평균보다 높은 분율을 보이고 있으며, 2020년 기준 OECD 평균은 0.11%, 대한민국은 0.19%로 나타남.
표 4. OECD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퇴원 후 30일 이내 자살률 추이(2012~2020)단위: %
OECD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퇴원 후 30일 이내 자살률 추이(2012~2020)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OECD 평균0.130.120.120.130.120.110.120.120.11
대한민국0.190.180.170.180.180.170.190.220.19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

정신장애 진단 환자의 퇴원 후 1년 이내 자살률

  • OECD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퇴원 후 1년 이내 자살률 추이를 살펴보면, 대한민국은 매년 OECD 평균보다 높은 분율을 보이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응답 국가 평균은 0.40%, 대한민국은 0.70%로 나타남.
표 5. OECD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퇴원 후 1년 이내 자살률 추이(2012~2020)단위: %
OECD 정신장애로 진단된 환자의 퇴원 후 1년 이내 자살률 추이(2012~2020)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OECD 평균0.430.380.410.400.380.360.430.390.40
대한민국0.660.640.670.630.580.620.570.620.70
출처: OECD, Health Stat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