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현황 - 정신건강서비스(국내)

서비스이용 및 경험률

진단별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

  • 2021년 기준 정신장애 진단별 정신건강서비스 이용률을 살펴보면, 평생 정신장애 진단자 4.4%, 1년 정신장애 진단자 7.2%로 나타났고,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방문 비율을 살펴보면 평생 정신장애 진단자 4.0%, 1년 해당 정신장애 진단자 7.0%로 나타남.
  •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비율은 우울장애 진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불안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니코틴 사용장애 순으로 높게 나타남.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방문 비율은 평생 정신장애 진단자의 경우 불안장애, 우울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니코틴 사용장애 순으로 높게 나왔으며 1년 정신장애 진단자의 경우 우울장애, 불안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니코틴 사용장애 순으로 높게 나타남.
표 1. 국내 정신장애 진단별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현황(2021)단위: %
국내 정신장애 진단별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현황(2021)
구분 정신건강서비스 이용 비율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방문 비율
평생 해당 정신장애 진단자 1년 해당 정신장애 진단자 평생 해당 정신장애 진단자 1년 해당 정신장애 진단자
전체4.47.24.07.0
알코올 사용장애3.42.63.22.6
니코틴 사용장애2.01.12.01.1
우울장애12.528.211.927.4
불안장애6.29.153.59.1
출처: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조사

정신건강 관련 상담 경험률

  • 2021년 기준 정신건강 관련 상담 경험률 살펴보면, 전체 응답자 대비 상담 경험률은 4.8%이며 평생 정신장애 진단 대상자 대비 상담 경험률은 13.0%로 나타남.
  • 각 항목 모두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에 상담받은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기타 정신건강전문가’, ‘종교인’, ‘한의사/한약사/침술사’ 순으로 나타남.
표 2. 국내 정신건강 관련 상담 경험률 현황(2021)단위: %
국내 정신건강 관련 상담 경험률 현황(2021)
구분 전체 응답자 상담 경험률 평생 정신장애 진단 대상자 상담 경험률
전체4.813.0
정신건강의학과 의사3.710.1
기타 정신건강전문가0.30.7
비 정신건강의학과 의사0.51.3
한의사, 한약사, 침술사0.10.4
종교인0.20.4
약사0.00.1
출처: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실태조사

서비스 현황

정신건강 관련 기관 등록·이용·입소 현황

  • 2021년 기준 시도별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등록?이용?입소자 수는, 전체 93,513명,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80,044명,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6,895명, 정신재활시설 6,574명으로 확인됨.
  •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경우 경기가 22,49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8,963명, 인천 6,052명, 충북 5,216명 순임. 또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경우 경기 1,799명, 광주 1,036명, 인천 731명, 경남 470명 순이었으며, 정신재활시설은 서울 1,945명, 경기 997명, 전북 631명, 부산 460명 순으로 나타남.
표 3. 시도별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등록·이용·입소자 현황(2023)단위: 명
시도별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사업 등록·이용·입소자 현황(2023)
구분 전체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정신재활시설
전국93,51380,0446,8956,574
서울11,2208,9633121,945
부산5,6984,826412460
대구3,5402,904188448
인천6,9676,052731184
광주2,7621,5391,036187
대전1,9151,207256452
울산1,5261,27218569
세종376347-29
경기25,29122,4951,799997
강원5,2644,80240953
충북5,5475,21697234
충남3,8943,520136238
전북3,2222,363228631
전남3,7973,57715169
경북4,9084,395221292
경남5,7135,102470141
제주1,8731,464264145
출처: 보건복지부, 국가 정신건강현황 보고서 2023

정신재활프로그램 이용자

  • 2023년 기준 시도별 정신재활시설 및 지역사회 재활기관 재활프로그램 이용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26,235명,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18,438명,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3,024명, 정신재활시설 4,773명이 이용한 것으로 확인됨.
  •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의 경우 경기지역이 6,98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 4,067명, 인천 1,648명, 강원 1,240명 순임. 또한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의 경우 경기지역이 748명, 광주 463명, 인천 222명, 경남 180명 순이며 정신재활시설의 경우 서울지역 1,578명, 경기 682명, 전북 451명, 부산 432명 순임.
표 4. 시도별 정신재활시설 및 지역사회 재활기관 재활프로그램 이용자 현황(2023)단위: 명
시도별 정신재활시설 및 지역사회 재활기관 재활프로그램 이용자 현황(2023)
구분 전체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정신재활시설
전국26,23518,4383,0244,773
서울4,0672,3591301,578
부산1,459850177432
대구1,35291380359
인천1,6481,284222142
광주1,067442463162
대전1,094741106247
울산38617014769
세종8776-11
경기6,9855,555748682
강원1,2401,05016426
충북1,07186550156
충남7656419232
전북1,16564173451
전남97781413528
경북1,071761152158
경남1,269987180102
제주532289105138
출처: 보건복지부, 국가 정신건강현황 보고서 2023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수행사업

  • 2023년 기준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수행사업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246개소 중 243개소에서 정신건강 증진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중증 정신질환 사업 240개소, 아동 청소년 사업 236개소, 자살예방 233개소, 재난관리 사업 206개소, 알코올/중독사업 76개소, 공동모금회 지원사업 7개소, 노숙인 정신보건 사업은 1개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표 5. 시도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수행사업 현황(2023)단위: 개소
시도별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수행사업 현황(2023)
구분 개소수 중증 정신질환 아동 청소년 자살 예방 정신건강 증진 알코올 / 중독 재난관리 사업 노숙인
정신보건
공동모금회
지원
기타
전국246240236233243762061742
서울25252523252123-12
부산1616161616115-24
대구99999-91--
인천1111111011511--1
광주55555-5-13
대전55555-4---
울산55555-5---
세종1111111---
경기37333129341230-116
강원1818161818711-11
충북1414141414211--1
충남1716161617413--2
전북1414141414510--3
전남2322222223416--2
경북2424242424421-15
경남20202020201019--2
제주22222-2---
출처: 보건복지부, 국가 정신건강현황 보고서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