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0 명당 이용 가능한 정신병상 수

Level 서울시자치구
과정산출결과 InputProcessOutput/Outcome
Domain 효과성효율성적절성접근성연속성반응성안정성
지표정의
인구 1,000명당 서울시 주민등록인구 수 대비 서울시 소재 의료기관 정신병상 수
지표설명
  • 정신질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신병상수 확보 정도
  • 정신의료기관의 총 병상이 아닌 정신과 입원병상을 의미하며, 폐쇄입원병상과 개방입원병상을 포함함
  • 정신의료기관은 국공립정신병원, 사립정신병원, 종합병원정신과, 병원정신과, 정신과의원, 정신요양병원을 포함함
  • 2019년 12월 31일 기준의 서울시 정신의료기관 정신병상 수
  • 서울시 외 위치한 서울시립병원(고양정신병원, 백암정신병원, 축령정신병원)은 분석 제외함
산출식
  • 분자: 서울시 정신의료기관 병상 수 × 1,000
  • 분모: 서울시 주민등록인구(2019.12.31)
해석과 적용
  • 2019년 서울시 정신의료기관 총 정신병상 수는 4,641병상으로, 2018년 4,669병상 대비 28병상 감소함. 서울시 인구 1,000 명당 이용가능한 정신병상 수는 0.48병상이었음
  • 2015년 이후 총 정신병상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
자료원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2020) 서울시 정신의료기관 현황조사
  •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2020) 서울시 정신건강증진시설 현황조사
[표1] 인구 1,000명당 이용 가능한 정신병상 수 (단위: 병상)
구분 총 정신병상수 인구수 인구 1,000명당 정신병상 수
2015년 5,563 10,022,181 0.56
2016년 5,504 9,930,616 0.55
2017년 5,479 9,857,426 0.56
2018년 4,669 9,765,623 0.48
2019년 4,641 9,729,107 0.48
[표2] 서울시 정신의료기관 유형별 병상 수 (단위: 병상)
구분 정신과 병상수 폐쇄 병상수 개방 병상수 격리병상
2018년 4,469 3,376 1,093 118
2019년 4,441 3,354 1,087 151
*주석: 격리병상은 2018년부터 조사하였음.
정신과 병상수에 정신요양시설 병상 및 격리병상은 제외됨.
[연관자료] 정신의료기관 유형별 정신병상수 (단위: 병상)